본문 바로가기
부자이야기

투자하는 성향에 따른 펀드 상품 알아보기

by 하부자 2023. 3. 4.
반응형

투자하는 성향에 따른 펀드를 따라잡기 위한 법을 소개해드려보려고 합니다. 펀드상품들 중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어떤 성향을 가진 사람이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투자하는 성향에 따른 펀드 상품 종류

첫번째로 주식 펀드자산의 60퍼센트 이상을 투자하는 주식형 펀드상품. 이것은 조금 위험한 투자상품이며 주로 공격적인 투자형 투자자 들이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두번째는 주식 및 펀드자산을 50퍼센트 이상 투자하는 주식혼합형 펀드상품이 있는데 이것은 앞서 말한 상품보다 위험도느 조금 낮지만 그래도 위험한 상품에 속하는 것이기도 하며 주로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사람들의 투자형상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세번째는 주식 및 펀드자산에 30퍼센트 이하를 투자하는 채권혼합형펀드인데요. 이것은 평균적인 상품이기 때문에 위험도가 살짝 있지만 그래도 괜찮게 쓸 수 있는 상품이며 위험을 어느정도는 감수하고 하는 투자자들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네번째, 최대손실가능비율이 원금대비 -5퍼센트 미만으로 구조화된 파생상품펀드 입니다. 위험도가 거의 없고 안정추구를 원하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마지막은 MMF (Money Market Fund), 국공채펀드 등이 있습니다. 이것은 위험도가 아예 없다고 보시면 되고 안정형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많다고 보면 됩니다.

 

단기간 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MMF에 투자하기

 MMF (Money Market Fund)는 자산운용사가 고객들의 자금을 모아서 펀드를 구성한다. 구성이 되었으면 금리가 높은 만기 1년 이내의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얻어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단기금융상품이라고 보면된다. 수시입출금이 가능하며 하루만 돈을 예치했어도 운용실적에 따른 이익금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처럼 단기자금에 운용하는데 적합하다고 불 수 있다. 그리고  MMF (Money Market Fund)는 법적으로 1년 이내의 우량채권에만 투자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손실에 대한 위험도 거의 없다고 보면 되겠다. 하지만  MMF (Money Market Fund)가 원금이 100퍼센트로 보장되는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금리상승이 지속되면  MMF (Money Market Fund)에 운용되는 채권의 가치하락으로 인해 손실이 될 수 있다. 때문에 조심해야 할 부분도 있다. 금리상승으로 인해 한 달에 5조원 정도 자금이 빠져나간적이 있었던 때가 있다. 이는 금리상승으로 인해 채권가격이 떨어져 손해를 볼 수 있었기 때문에 다른 투자처를 물색하는 움직임이 있었을 때가 있었으며 카드발급도 안되어 입출금을 할 수 없고 결제와 자동이체의 기능이 없어서 공과금 같은 것들을 결제할 수 없다는 단점도 같이 있다.

 

위험을 감수하고도 고수익을 원한다면 주식형 펀드상품에,

 

주식형 펀드란 주식이나 주식과 관련되있는 파생상품에 펀드자산을 60퍼센트 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이다. 따라서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이지만 위험을 그만큼 감수하고 투자해야 할 상품이기도하다. 이러한 위험도 때문에 주식형이라는 펀드 상품은 아예 배제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른다는 말에 공감하고 깨닫는다면 아마 이 상품에 투자해 볼 것이다. 위험도를 최대한 낮추고 단기간에 고수익을 낼 수 있는 펀드를 찾는다면 이런 주식형펀드에 투자해보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이다. 이처럼 위험도가 높지만 고수익을 동시에 갖고 있는 상품이기 때문에 저금리시대에서는 위험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 고수익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위험도를 잘 관리하기 위해 적립식펀드를 이용하는 것도 좋다. 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주가때문에 최소 3년 이상 적립식펀드를 사용한다면 물가상승률 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고수익을 내는 상품은 운용실적이 다르다는 생각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고 분기별로 평균수익률이 전체 펀드상품중 상위 30% 정도는 유지하는 펀드가 좋다.

반응형

댓글